팍스넷 전설의 스캘퍼, '무뎌진 칼날' 이야기 (3)

By 사이다경제 2016.01.01




이 글은 2편에서 이어집니다! (클릭)



거래비용을 유념해야 한다

 

거래에 진입하게 되면

거래 한 번당 최저 0.3%

거래비용이 발생합니다.

 

자신의 자금 전체를 100%라고 했을 때

스캘퍼들은 적게는 1,000%부터

20,000% 이상의 회전율을 발생시키는데,

 

1,000%의 회전율을 기록했다면

자기 전체 투자금액을 가지고

10번을 진입한 후 청산했다는 의미입니다.



 

 

총 투자금액이 한 번 회전했다면

건당 거래비용은 0.3%니까 10번이라면 3%,

100번이면 30%의 거래비용이 발생하죠.

 

만약 주식의 신이라서 매번 수익을 냈다고 해도

결국 총 투자금액의 30%라는 금액은

피할 수 없는 거래비용으로 잡아야 합니다.

 

그렇기 때문에 100만원을 20번 회전시키고,

한 번 진입할 때마다

 1%씩의 투자손실을 입었다고 가정하면

 

다시는 영영 재기할 수 없을 만큼의

붕괴에 다다르게 됩니다.

 

 

더욱이 복리라는 것은

그 본질이 레버리지에 있기 때문에

기대수익이 증가하는 만큼 (하이 리턴)

기대손실 또한 비례해서 증가한다고

인식해야 합니다. (하이 리스크)



>레버리지란 무엇일까? (클릭)<



간단한 예를 들자면

 

100만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

100만원의 부채를 얻은 후

50%의 수익을 올렸다고 가정한다면

 

투자금 200만원 + 수익금 100만원이므로,

본인의 투자금 100만원을 기준으로 한다면

무려 100%의 추가수익을

발생시킨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

 

 

문제는 손실에서도

똑같은 계산이 유효하다는 것인데요.

 

100만원을 가진 사람이

100만원의 부채를 얻은 후

50%의 손실을 겪었다고 가정한다면

 

본인의 투자금 기준으로

무려 100%의 손실을 입은 것입니다.



  

더욱이 100만원으로 50%의 손해가 났다면

남은 돈은 절반인 50만원으로,

여기서 무려 100%의 수익률을 올려야

 

자신의 투자원금을 확보,

즉 본전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.



 

이 논리는 종잣돈의 크기가 얼마나 커지든

모두 똑같이 적용됩니다.

 

많은 돈을 투자한다는 것은,

더 많은 수익률에 노출됨과 동시에

그와 동등한 손실을 볼 수 있다는 위험에

노출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.

 

무뎌진칼날 정도 되는

최상급 실력을 갖춘 스캘퍼들은

리스크 관리와 투자금 관리에 탁월하지만

 

아무래도 사람의 마음이란 것이

보통 탐욕이 앞서기 쉽기 때문에

 

한 번 얻은 수익금을 재투자해서

더 큰 수익을 내고 싶다는 욕심을 이겨내기가

매우 어려울 것입니다.

 

재투자라는 것이 본래 실력이

어느 정도 되는 사람들만 할 수 있는 것이라서

더욱 욕심을 내기가 쉽습니다.

 

허나일정한 자금을 가지고

꾸준한 수익을 쌓아간다는 것이 왕도라는 점은

스캘퍼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공합니다.



 

 

본인이 투기꾼임을 잊지 않는다

 

주식을 하려거든 스스로를 알아야 합니다.

 

가장 큰 틀을 보자면

본인의 목적이 투자인지매매인지?

파악하는 것이 되겠습니다.

 

투자자라면 기업에 투자해서

https://cidermics.com/contents/detail/178

저작권자 ©(주)사이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

에디터

에디터의 다른글

댓글 0


댓글작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