머니스트

전기 민영화, 무엇이 문제일까?

By 황원지 2016.01.01


전기 민영화무엇이 문제일까?


 


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 전기,

이 전기가 민영화가 된다는 말이 도는데요.

 

이는 6 14일 정부가 발표한

<에너지/환경/교육 분야 기능조정 방안>

으로 촉발된 논란입니다.

 

그렇다면 정말

전기가 민영화된다면 어떻게 될까요?

 

 

이를 알아보기 위해서

현재 전력시장의 구조는 어떻게 되어있는지,

정부 정책 속 민영화의 의미가 무엇인지,

 

만약 민영화가 시행된다면

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

조목조목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.

 

 

현재 전력시장의 구조는?


 


위 그림에서 보실 수 있듯

현재는 한전이 모든 송배전망을 소유해

생산자에게 전기를 사서

국민들에게 판매하는 구조로,

 

생산자-한전-소비자로 이어지는

독점판매 시스템입니다.

 


전기요금도 한전에게 내면 되고,

요금의 인상과 인하 또한 한국전력공사가

정부의 정책에 따라 결정하게 됩니다.

 

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전기가스수도 등

기반시설은 공공재의 특성을 띠기 때문에

 

현재 국가가 정책적으로 관리하며

재화를 생산하는 원가보다도

낮은 가격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.


 


하지만 생산 자체는 민간에 열려 있는데요.

/수력 발전소를 중심으로 한 민간 발전회사,

태양광과 같은 신소재 에너지 사업자들이


전기를 생산해서 한전의 송전망으로 보내면

한전이 국민에게 판매하는 방식입니다.

 

그렇다면 독점적으로 운영하던 전기시장을

지금 왜 개방하려고 하는 걸까요?

 

 

왜 지금 민영화를 하지?

 


이를 알아보기 전에 먼저 민영화가

어떤 방식으로 이뤄지는지 짚어봐야 할 텐데요.

 

정부의 한국전력 민영화는

'소유의 민영화' '시장의 민영화'

두 가지 부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.

 


소유의 민영화

한전의 주식을 민간에 판매하는 것인데

주식 판매를 통해 113에 달하는

한전의 부채를 개선하기 위해서라는

시각이 많습니다.


  

예전에 인천공항 민영화할 때

거론되었던 민영화가

바로 이 소유의 민영화인데요.

 

생활필수 공공재인 전기를

공급하는 동시에 가격을 결정하는

한국전력을 시장에 팔게 된다면

 

시장논리로 전기의 가격이 올라가게 될 것

이라는 적지 않은 우려가 있습니다.


 


정부는 '(과반수가 넘는) 51%

정부가 소유하는 민관 혼합소유제로서

운영의 주체는 정부가 될 것'이므로

민영화는 아니다라고 반박했습니다.

 

 

두 번째로시장의 민영화

전력의 생산뿐만 아니라 판매 시장까지

민간에 개방하는 것입니다.


 


지금까지 전기 생산자들은

한전을 거쳐야만 판매가 가능했지만

시장의 민영화를 거치고 난 후에는

꼭 한전을 거치치 않더라도 전력거래소를 통해

직접 판매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.

 

이 부분이 뜨거운 감자입니다.

 

 

정부가 말하는 민영화의 장점

 


정부는 민영화를 통해

전기산업과 통신산업 등을 결합할 수 있고

이를 통해 신산업 창출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.

 


이걸 쉬운 예를 들어 설명하면

휴대폰 요금제를 선택할 때

인터넷과 패키지로 산다면

각각의 상품을 따로 구매하는 것보다 싸죠?

전기도 앞으로 그렇게 된다는 건데요.

 

실제로 이웃나라 일본에서는

전력민영화가 실행되어

전기도 패키지로 구매할 수 있다고 하네요.


 

https://cidermics.com/contents/detail/165

저작권자 ©(주)사이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

에디터

에디터의 다른글

댓글 0


댓글작성